전체 글

· DEV/Network
네트워크와 웹의 기본지식을 익히기 위해서 관련 서적을 하나 구매했다. 책의 이름은 "그림으로 배우는 Http&Network Basic" 이고 책의 내용을 토대로 블로그를 작성할 계획이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15894097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 YES24 이 책은 웹의 근간을 이루는 HTTP를 중심으로 하여 웹, 인터넷 데이터 통신 분야의 기초가 되는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 관련 분야를 배우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만화 캐릭터와 일러스트를 활용 www.yes24.com 1장. 웹과 네트워크의 기본 1-1. 웹은 HTTP로 나타낸다. - 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 주소 입력란에 URL을 입력하여 어딘가에 송신한다. 어딘가에서 응답이 돌아오면 웹..
문서 객체 모델이란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웹 문서에 접근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객체를 사용해 웹 문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방법 - 웹 문서와 그 안의 요소를 '객체' 로 인식하고 처리함. ex) 웹 문서 전체는 document 객체, 삽입한 이미지는 image 객체 DOM 트리 - 웹 문서에 있는 요소들 간의 부모, 자식 관계를 계층 구조로 표시한 것 - 나무 형태가 되기 때문에 "DOM 트리" 라고 함. - 노드(node) : DOM 트리에서 가지가 갈라져 나간 항목 - 루트 노드(root node) : DOM 트리의 시작 부분(html) DOM을 구성하는 원칙 - 모든 html 태그는 요소 노드이다. - 웹 문서의 텍스트 내용은 요소 노드의 자식 노드인 텍스트 노드 - 태그의 속성은 요소 노드의 ..
객체(object)란? - 프로그램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모든 대상 -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본 단위 자바스크립트 객체 자바스크립트 안에 미리 객체로 정의해 놓은 것 - 문서 객체 모델(DOM) : 문서 뿐만 아니라 웹 문서 안에 포함된 이미지, 링크, 텍스트 필드 등을 모두 별도의 객체로 관리 - 브라우저 관련 객체 : 웹 브라우저 정보를 객체로 관리 - 내장 객체 : 웹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하는 요소를 객체로 정의해 놓음. 사용자 정의 객체 -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만드는 객체 객체의 인스턴스 만들기 - 객체는 객체 자체가 아니라 인스턴스 형태로 만들어서 사용 - 인스턴스 : 객체를 틀처럼 사용해서 같은 모양으로 찍어낸 것 ex) Date 객체의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날짜와 시간 표시하..
https://www.acmicpc.net/problem/1940 1940번: 주몽 첫째 줄에는 재료의 개수 N(1 ≤ N ≤ 15,000)이 주어진다. 그리고 두 번째 줄에는 갑옷을 만드는데 필요한 수 M(1 ≤ M ≤ 10,000,000) 주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셋째 줄에는 N개의 재료들이 가진 고 www.acmicpc.net 문제 주몽은 철기군을 양성하기 위한 프로젝트에 나섰다. 그래서 야철대장을 통해 철기군이 입을 갑옷을 만들게 하였다. 야철대장은 주몽의 명에 따르기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던 중 아래와 같은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갑옷을 만드는 재료들은 각각 고유한 번호를 가지고 있다. 갑옷은 두 개의 재료로 만드는데 두 재료의 고유한 번호를 합쳐서 M(1 ≤ M ≤ 10,000,000)이 ..
함수란? - 동작해야 할 목적대로 명령을 묶어 놓은 것. - 각 명령의 시작과 끝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음 - 묶은 기능에 이름을 붙여서 어디서든 같은 이름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음 - 자바스크립트에는 이미 여러 함수가 만들어져 있어서 가져다 사용할 수 있음 ex)alert 함수의 선언 및 호출 function 함수명(){ //명령 } 함수를 사용해 두 수를 더하는 코드를 구현해 보자. 스코프 : 변수가 적용되는 범위 - 스코프에 따라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로 나뉨. 지역 변수 - 함수 안에서 선언하고 함수 안에서만 사용함 - var과 함께 변수 이름 지정 지역 변수의 예제 전역 변수 - 스크립트 소스 전체에서 사용함 - 함수 밖에서 선언하거나 함수 안에서 var없이 선언 전역 변수의 예제 var 변..
변수란 - 변수(Variable) : 값이 여러 번 달라질 수 있는 데이터 - 상수(Constant) : 값을 한번 지정하면 바뀌지 않는 데이터 변수 선언의 규칙 1. 변수 이름 - 영어 문자, 언더스코어, 숫자를 사용한다. - 첫 글자는 영문자, _, $기호를 사용한다. - 띄어쓰기나 기호는 허용하지 않는다. 2. 영어 대소문자를 구별하며 예약어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3. 여러 단어를 연결할 때는 하이픈이나 언더스코어를 사용할 수 있고 중간에 대문자를 섞어 쓸 수도 있다. 4. 변수 이름은 의미있게 작성한다. 변수 선언하기 - var 뒤에 변수 이름 작성. - var를 한 번만 쓰고 뒤에 여러 개의 변수를 한꺼번에 선언할 수도 있음. 변수에 값 할당 - '=' 기호 다음에 값을 저장. 자료..
wn1331
JONG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