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 설명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 comm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마지막 원소 다음으로 올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2 < common의 길이 < 1,000
- -1,000 < common의 원소 < 2,000
-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이 아닌 경우는 없습니다.
- 공비가 0인 경우는 없습니다.
배열의 최소 길이가 3이므로, 고정으로 2번째 요소(0부터)까지는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생각해 낸 방법은 0번째 요소와 1번째 요소의 차가 1번째 요소와 2번째 요소의 차와 같다면 등차수열, 그게 아니라면 등비수열로 분류하여 조건문으로 작성하였다.
조건문에서 등차수열의 공비는 1번째 요소와 0번째 요소의 차, 등비수열의 공비는 1번째 요소를 2번째 요소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소스 코드


반응형
'코딩테스트 > Programmers_LV0'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_JAVA_종이 자르기 (0) | 2022.11.10 |
---|---|
Programmers_JAVA_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0) | 2022.11.10 |
Programmers_JAVA_문자열 밀기 (0) | 2022.11.09 |
Programmers_JAVA_연속된 수의 합 (0) | 2022.11.06 |
Programmers_JAVA_옹알이 (0) | 2022.11.06 |
반응형
문제 설명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 commo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마지막 원소 다음으로 올 숫자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보세요.
제한사항
- 2 < common의 길이 < 1,000
- -1,000 < common의 원소 < 2,000
- 등차수열 혹은 등비수열이 아닌 경우는 없습니다.
- 공비가 0인 경우는 없습니다.
배열의 최소 길이가 3이므로, 고정으로 2번째 요소(0부터)까지는 존재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 생각해 낸 방법은 0번째 요소와 1번째 요소의 차가 1번째 요소와 2번째 요소의 차와 같다면 등차수열, 그게 아니라면 등비수열로 분류하여 조건문으로 작성하였다.
조건문에서 등차수열의 공비는 1번째 요소와 0번째 요소의 차, 등비수열의 공비는 1번째 요소를 2번째 요소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소스 코드


반응형
'코딩테스트 > Programmers_LV0'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_JAVA_종이 자르기 (0) | 2022.11.10 |
---|---|
Programmers_JAVA_잘라서 배열로 저장하기 (0) | 2022.11.10 |
Programmers_JAVA_문자열 밀기 (0) | 2022.11.09 |
Programmers_JAVA_연속된 수의 합 (0) | 2022.11.06 |
Programmers_JAVA_옹알이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