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먼저 brew로 mysql을 설치해주고 실행해보자.
그 다음 brew services라고 터미널에 입력하면, 현재 brew 서비스 상태를 보여주는데, mysql이 실행중이지 않다면
brew services start mysql을 입력해주면 된다.
brew로 mysql을 설치했다면, Default username은 root이고, password는 아무것도 없는 상태인 공란이다.
포트는 3306이 mysql의 기본 포트.
그러면 이제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자.
IntelliJ Ultimate 버전을 사용 중이라면, new Project를 눌러, 아래와 같은 의존성들을 추가해주자.
IntelliJ가 Community 버전이라면,
위 사이트에서 똑같이 작업을 해주면 된다.
resources/templates 디렉토리 내부에 main.mustache 폴더를 만든 후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doc 타이핑 후 tab키)
다음으로, controller 디렉토리를 만들고 MainController클래스를 생성한다.
db가 연동되어야 할 의존성들은 잠시 주석처리한다.
마지막으로 Application을 실행하고, localhost:8080에 접속 후 아이디는 admin, 비밀번호는 콘솔 창에 나타나는 시큐리티 암호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접근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Spring > Spring Secur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시큐리티 - SESSION (4) 커스텀 로그인 (0) | 2024.02.07 |
---|---|
스프링 시큐리티 - SESSION (3) 인가 작업 (0) | 2024.02.07 |
스프링 시큐리티 - SESSION (1) 간단 동작 원리 (0) | 2024.02.06 |
Spring Security 의 내부 동작 과정 (0) | 2024.01.02 |
Spring Security 의 서블릿과 필터 (0) | 2023.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