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ySQL과 MongoDB의 특징 비교
MySQL의 특징
타입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저장 형식 : 고정된 행과 열 기반의 테이블
쿼리 : SQL
스키마 : 정적 스키마 (미리 정의된 데이터 구조에 따라 데이터 저장)
외래키 지원 O
트랜잭션의 격리수준 : default - repeatable_read(중간정도의 격리수준)
기본키 자동설정 X
기본 스토리지 엔진 : innoDB 엔진
수평적 확장(스케일 아웃)이 어렵다. (숙련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
MongoDB의 특징
타입 : NoSQL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저장 형식 : Bson(Binary Json) - Json 스타일의 도큐먼트 형식(nested된 타입을 저장할 때 강점)
쿼리 : MQL - Json 형식으로 쿼리
스키마 : 동적 스키마 (다양한 데이터 타입 및 구조를 갖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음)
외래키지원 X (ObjectID를 통해 우회적으로 지원)
트랜잭션 격리수준 : default - local(RDBMS의 격리레벨과 다르게 처리, mongodb는 local, majority, snapshot이라는 고유의 격리성 레벨을 가지고 있음)
기본키 자동설정 O
기본 스토리지 엔진 : wired Tiger 엔진
수평적 확장이 쉽다.
반응형
'DEV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인덱싱이란? (0) | 2024.05.27 |
---|